이 블로그 검색

2025년 1월 27일 월요일

천인상응 이론에 따른 계절별 본디지 방법

 인간은 대자연에 속한 존재로서 항상 대자연의 거대한 흐름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천인상응(天人相應)” 이론은 동양철학과 전통의학의 중요한 개념이다.

 

예컨대 동양의 대표적인 고전인 [주역(周易)]에서는 자연과 인간의 상호작용, 변화의 원리를 음양과 괘()로 설명하였고, 한의학 이론의 근간으로서 의학뿐만 아니라 철학,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설명한 [황제내경(黃帝內經)]에서는 사기조신대론(四氣調神大論), 음양응상대론(陰陽應象大論) 등에서 인체와 계절, 오행, 자연현상 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한나라의 동중서(董仲舒)가 저술한 [춘추번로(春秋繁露)]에서도 계절, 기후, 천체의 움직임과 인간의 삶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천인상응 이론에 따르면 자연의 변화는 인간의 신체와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며, 그 중에서도 계절의 변화는 특히 중요한 부분이 된다. 계절의 변화가 인체의 생명현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러한 관점은 현대 과학에서 다양한 연구를 통해 실증되고 있다.

 

예컨대 수면과 각성 주기를 조절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Melatonin) 분비가 계절에 따른 일광(日光)의 다소에 따라 그 분비량이 달라지고, 자외선 B를 통해 피부에서 합성되는 비타민 D도 계절에 따라 그 합성량이 달라지며, 생식 호르몬(테스토스테론, 에스트로겐)의 분비도 명확한 계절성을 띤다.

 

또한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체온조절 메커니즘도 계절에 따라 변화하여 겨울에는 몸의 떨림(근육 수축)이나 혈관 수축(피부로의 혈류 감소) 등을 통해 체온을 유지하고, 더운 여름에는 땀과 혈관 확장을 통해 체열을 방출한다. 이밖에도 인체의 면역체계 역시 계절 변화에 영향을 받으며, 사람의 기분도 계절에 따른 신경전달물질(Serotonin ) 분비량의 변화로 인해 그 영향을 받는다.

 

이에 계절적 특징과 이에 상응하는 본디지 원칙을 개괄적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아래에서 기술한 내용은 동양의 천인상응(天人相應) 이론과 계절에 따른 본디지 방법을 연관시켜 본 것으로 필자의 개인적인 견해임을 미리 밝혀둔다.

 

1. [] 

봄은 만물이 소생하는 계절로서 목()의 기운이 활성화되며, 생명 에너지가 증가하고 발산되는 시기이다. 따라서 본디지에 있어서는 팔과 다리를 자연스럽게 펼치는 자세와 움직임을 허용하는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밝은 초록이나 연두색 등 봄의 생기를 상징하는 색상을 활용하여 리거와 버니의 기분이 고조되도록 한다. 

봄에는 기혈의 흐름과 중요한 관계가 있는 간()의 기능이 활성화되는 계절이므로 묶을 때 흉부나 복부를 과도하게 압박하는 방법은 지양해야 한다. 또한 묶는 동안 과도한 긴장이나 압박을 피하여 신체의 자연스러운 발산(확장)을 방해하지 않아야 하며, 감정적으로는 억눌림을 해소할 수 있도록 부드럽고 친밀한 분위기를 조성하도록 한다.

 

2. 여름 [] 

여름은 화()의 기운이 최고조에 달하며, 강렬한 에너지와 함께 활발한 활동이 필요한 계절이다. 따라서 본디지에 있어서는 열을 발산할 수 있도록 몸을 지나치게 감싸기보다 피부를 드러내는 방식으로 묶는 것이 좋다. 

여름에는 심()의 기능이 활성화되는 시기이므로 가슴 부위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하고, 심박수가 과도하게 상승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한 무더운 환경에서 장시간 묶는 것을 피하고, 충분한 수분 보충을 해야 하며, 지나치게 에너지를 소모하거나 흥분 상태가 길어지지 않도록 적절히 휴식 시간을 두어야 한다. 

 

3. 가을 [] 

가을은 만물이 수렴되고 내면화되는 시기로서 금()의 기운이 강하며, ()가 주관하는 계절이다. 따라서 본디지 시에는 상대적으로 느슨하지만 견고한 묶음 방식을 사용하여 안정감을 주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팔을 가슴 근처에 묶거나 몸 전체를 안정적인 자세로 고정하도록 한다. 

또한 폐의 기운을 돕기 위해 흉곽 부위를 과도하게 압박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감정적 민감성이 커질 수 있는 계절이므로 안정감을 주는 환경에서 진행하고, 리거와 버니의 신뢰성을 강화하여 심리적 안정을 제공해야 한다. 

 

4. 겨울 [] 

겨울은 만물이 수렴되어 휴식하고 에너지를 축적하는 계절로서 수()의 기운이 강하며, ()이 주관하므로 보온과 휴식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디지에 있어서는 신체를 감싸는 코쿤(Cocoon) 스타일의 머미(Mummy)나 라텍스 보디슈트 등 몸 전체를 감싸는 방식이 좋다. 

겨울에는 장시간 차가운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차가운 금속 재료의 사용을 피해야 하며, 지나친 압박으로 혈액순환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감사합니다.


2023년 2월 8일 수요일

후수박(後手縛) 시 로프 위치에 관한 고찰


일본식 후수박(後手縛)에서 흉부를 가로지르는 두 갈래 로프의 안착 위치에 대한 기술적인 부분을 소개하고자 한다.

* 참고 : 일본식 후수박은 일본어로 “Takate Kote”라고 하며, 통상적으로 TK로 약칭한다. 따라서 본디지 관련 서적에서 TK란 일반적으로 일본식 후수박을 가리킨다.


먼저 결론부터 말하고 그 까닭을 아래서 자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후수박 본디지 시에는 상완(上腕 : 팔꿈치에서 어깨까지의 부위)을 절반으로 나눈 후 가급적 위쪽 부분에 로프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아래 이미지처럼 두 갈래의 로프 간격은 손가락 2~3마디 정도의 거리를 두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렇게 하면 로프의 가닥이 삼각근의 하단부와 삼두근의 위쪽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는 하중을 편안하고 안전하게 받을 수 있고 하중을 받는 동안 물리적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 영역을 제공한다.

 


적지 않은 경우 아래 이미지처럼 상완 아래쪽 부위에 세 갈래의 로프 중 마지막 갈래가 위치하는 경우도 있는데, 대개는 로프가 너무 많이 남아 마감처리가 어려울 때 일종의 장식과 마감을 위하여 두 갈래 외에 추가로 상박의 하단부에 로프를 위치하도록 한 것이다.



이는 주로 신체적 특성을 잘 파악한 익숙한 모델에게만 적용해야 하며, 가장 아래쪽 로프 갈래는 힘을 주어 조여서는 안 된다. 즉 힘을 받고 지탱하는 것은 위쪽 두 갈래임을 명심해야 한다.

 

그레이 해부학(Gray's Anatomy) 같은 오랜 해부학 서적에서 조차 요골신경, 정중신경, 척골신경 등의 상완을 지나가는 주된 신경들이 상완의 바깥쪽이 아닌 안쪽에 있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팔과 관련된 주요 신경이 몰려서 지나가는 상완부의 안쪽면은 외부의 압박에 민감하고 취약하다.



특히 요골신경은 매우 취약한 부위이므로 신경을 압박할 수 있는 요소가 발생하지 않도록 항상 주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요골신경은 팔의 중간 지점 아래 어딘가에서 바깥쪽으로 구부러지는데, 이 부분에서 신경은 낮은 정도의 외부 압박에도 매우 취약하다. (아래 이미지 상의 요골신경 경로 참조).

 


위 이미지는 표준 해부도에서의 요골신경을 나타낸 것이다. A는 어깨 바깥쪽에 있는 뼈 부위(상완골두)이고, D는 상완골 끝에 있는 돌출 부위이다. BAD의 중간 부위이다. CD보다 약 10-12cm(4-4.75인치) 위쪽에 위치한다

요골신경은 C점과 D점 사이, 즉 직사각형 박스 표시 부분이 가장 취약하며, 더 구체적으로는 요골신경이 팔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상완골을 감돌아 나가는 부위인 B점과 C점 사이에 있을 그 취약성이 가장 높다.

단 이는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불변의 법칙은 아니며, 사람에 따라 그 위치가 조금씩 다를 수 있다. 이를 확실히 알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해당 부위를 직접 압박하여 확인해 보는 것이다.


요골신경의 손상 징후는 팔에서 손가락까지 이어지는 특이한 감각으로 나타난다. 아무리 경미할지라도 만약 버니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까지 경련이나 전기가 통하는 듯한 느낌이 온다면 이는 요골신경에 과도한 압박이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신체적 징후를 무시하지 않아야 하며, 즉시 해당 부위의 로프를 신속하게 제거해야 한다.

요골신경은 겨드랑이에서 팔의 뒷쪽으로 넘어가서 주행하게 되는데, 이 부위는 압박에 취약하다. 이는 요골신경이 팔의 뒷편을 지날 때 신경의 바로 아래 딱딱한 상완골(上腕骨 : Humerous)이 위치하기 때문이다. 탄력이 있는 근육조직의 사이로 지나가는 신경과 비교할 때 요골신경의 윗쪽은 근육인 삼두근이 덮고 있지만, 바로 밑은 딱딱한 상완골이 자리하고 있어, 만약 삼두근이 긴장하게 되면 아랫쪽은 탄성이 없는 뼈이기 때문에 신경이 보다 쉽게 압박을 받게 된다.

상완골의 위로 요골신경이 지나는 부위를 Spiral groove라고 하는데, 주로 삼두근의 장두나 외측두가 긴장하게 되면 이 Spiral groove에서 요골신경이 압박받게 된다. Spiral groove에서 요골신경이 압박을 받으면 손목이 펴지지 않는 손목하수(Wrist drop)가 발생하거나, 아랫팔 근육이 긴장하면서 팔꿈치 관절에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손등과 아랫팔의 손등쪽 면에 날카로운 통증이나 예민한 감각 등의 감각이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요골신경의 얕은 갈래(Superficial branch of radial nerve)는 상완요골근 아래를 주행하다 손목의 5cm정도 위에서 완전히 피부표면으로 나오게 되는데, 이 천부가지가 상완요골근 아래에서 압박을 받거나, 상완후면의 "Spiral groove"에서 요골신경이 압박을 받으면 손등과 엄지손가락,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의 손등쪽 감각 이상이 발생한다.

 


요약하면 상완의 중간 지점 아래 부분을 로프로 강하게 조이는 것을 극도로 주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리거라면 갖추어야 할 가장 기본적인 지식이며, 버니의 안전을 위한 가장 기초적인 조치이기도 하다.


이상 절학무우의 잡설이었습니다.

이 글을 인용할 경우, 반드시 그 출처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2022년 8월 19일 금요일

방법론으로 본 Bondage의 종류 [2]

 11. 역새우 묶기(逆海老縛, Hogtied)

피결박자의 몸을 마치 활처럼 뒤로 휘게 묶는 방법으로서, 구속감이 매우 강한 방법의 하나이다. 대개 피결박자의 머리와 다리를 로프로 연결하여 최대한 당김으로써 몸이 활처럼 뒤로 휘어지게 하는데, 상대방의 저항력을 완전히 상실케 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구체적인 방법에서는 일본과 서양이 약간 다르지만, 큰 틀에선 대동소이하다고 볼 수 있다.

장시간 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피결박자에게 극한의 고통을 줄 수 있는 만큼 시간 안배에 주의해야 한다.


아래를 역새우 묶기의 한 형태이다.

 


 


12. M자로 다리 벌려 묶기(M字開脚)

이는 본디지 방법에 대한 명칭이라기 보다는 구속된 자세를 총칭하는 것이다.

각기 접어서 묶은 다리는 몸통이나 쇼파나 침대 등 외부 물체에 고정하여 두 다리를 모을 수 없게 하는 것이 핵심이며, 그 구체적인 방법은 사람에 따라 매우 다양하므로 하나로 총괄하여 설명하기 어렵다.

비교적 장시간 동일한 자세를 유지해도 큰 무리가 없는 방법으로서, 수치감을 극대화하는 데 널리 사용한다.


M자로 다리 벌려 묶기의 형태는 아래와 같다.

 


 


13. 웅크려 묶기(狸縛)

양팔로 허벅지를 끌어안은 상태로 묶는 방법을 가리킨다.

일본식 용어로는 “狸縛”이라 하여 너구리를 뜻하는 “狸(리)”를 사용하고 있는데, 예전에 너구리를 포획할 때 사용하던 묶음새와 유사하여 붙인 명칭이라 한다.

두 다리는 벌어지지 않지만 몸을 웅크린 상태가 되므로 둔부와 은밀한 부위가 여지없이 드러나므로 멜이나 펨을 떠나 상당한 수치감과 무력감을 줄 수 있다.


아래는 웅크려 묶기의 형태이다.

 

 



14. 치골부 묶기(股縛)

를 일본에서는 “股繩;”, 영어권에서는 “Crotch Rope”라고 하는데, 묶는 방법에 대한 명칭이라기 보단 생식기가 위치한 치골부로 로프를 통과시키는 형태에 따라 붙인 이름이다.

피결박자가 펨인 경우는 은밀한 부위에 로프 매듭을 짓거나 도구 등을 고정하는 등 여러 가지 응용 방법이 있다.

이는 은밀하고 민감한 부위에 직접 로프가 닿는 방법이므로 그 조임의 강도와 위생에 유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가급적 속옷이나 스타킹 등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한 상태로 실행하는 것이 좋다.


아래는 치골부 묶기의 형태들이다. 

 




15. 마름모꼴 묶기(菱形縛)

이 방법을 "귀갑묶기(龜甲縛)"와 혼동하는 사람이 많은데, 분명히 다른 방법이다.

마름모꼴 묶기는 정면에서 볼 때 로프의 묶음새가 마름모꼴을 띠므로 “菱形縛”이라 한다. 반면 “귀갑묶기”의 경우는 정면에서 볼 때 마름모꼴이 아닌 육각형을 띤다. [아래 이미지 참조]

"팔 뒤로 돌려 묶기" 등과 병용하면 구속감이 있지만, 그 자체만으로는 구속력이 그다지 없는 일종의 장식용 또는 보여주기식 묶음새로 보아도 무방하다.


아래는 마름모꼴 묶기와 귀갑묶기 비교 이미지이다. 


   왼쪽 : 마름모형 묶기,  오른쪽 : 귀갑묶기

 


16. 귀갑묶기(龜甲縛)

본디지를 대표하는 방법의 하나로 불릴 정도로 잘 알려진 묶음새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이 생각하는 귀갑묶기는 실상 “마름모꼴 묶기(菱形縛)”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대해서 “15. 마름모꼴 묶기”에서 언급했으므로 중언부언하지 않겠다.

귀갑박(龜甲縛)이란 명칭은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그 형태가 마치 거북 등껍질 문양과 유사하여 붙인 것이다.

이 방법도 "뒷짐 결박"이나 기타 방법과 병용하면 구속력이 있지만, 이 방법만으로는 제대로 된 구속력을 추구하기 어렵다.

이 방법은 자칫 피결박자가 조금만 움직이면 그 형태가 무너지기 쉬운데, 매듭을 잘 이용하여 그 형태가 무너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아래는 귀갑묶기의 올바른 형태이다. 

 




17. 착의묶기(着衣緊縛)

이는 묶는 방법에 대한 명칭이라기 보단 본디지의 장르를 나타내는 용어로서, 그 명칭처럼 옷을 입힌 상태로 묶는 것을 말한다.

주로 노출을 싫어하지만 본디지의 구속감을 좋아하는 상대에게 적용하거나, 색다른 느낌을 주고자 할 때 사용한다.

일본과 서양의 경우는 이 장르를 DID(Damsel In Distress : 악당 등에 의해 납치 당하거나 사로잡혀 곤경에 빠진 아름다운 여성을 표현한 장르로서 노출이 없는 상태로 묶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로 부르며, 상당한 마니아층을 형성하고 있다.


아래는 착의묶기의 일례이다. 

 




18. 장식묶기(飾縛)

로프를 이용하여 주로 모양과 매듭을 내는 데 치중하는 것으로서, 이는 엄밀히 말하면 본디지로 보긴 어려운데, 주로 이벤트나 시연회 등에서 보여주기의 한 행위로서 응용된다.

이는 인체를 이용한 로프 매듭의 일종이라 이해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장식묶기의 형태는 아래와 같다. 

 




19. 도구 고정 묶기(道具固定縛)

이 방법은 SM플과 병행할 때 널리 사용하는 방법이다. 주로 바이브레이터나 딜도, 또는 고정용 물체 등과 함께 묶음으로써 플레이시 자극감과 편의성을 높이거나, 시각적인 구속감을 높이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이 방법은 임기응변이 필요하므로 어느 정소의 숙련도가 필요하다.


도구 고정 묶기의 형태를 예로 들면 아래와 같다. 

 




20. 사디리꼴 묶기(梯子縛)

이는 피결박자의 자세에서 유래한 명칭이 아니며, 로프 매듭의 특이성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묶는 부위가 한정되어 있지 않다.

로프가 종횡으로 교차하는 지점에 포인트를 준 것으로, 가로 방향에서 주로 움직임을 제한하는 로프에 세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로프를 걸어 시각적인 효과를 높인 것이다.


사다리꼴 묶기의 형태는 아래와 같다. 

 

 



21. 팔꿈치 접어 묶기(屈腕固定縛)

글자 그대로 팔을 접어 고정하는 묶음새이다. 양 팔에 모두 적용하면 상대방의 저항력을 완전히 빼앗을 수 있다.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기타 본디지 방법과 결합하여 응용한다.


팔꿈치 접어 묶기의 형태는 아래와 같다.

 

 



22. 다리 접어 묶기(屈脚固定縛)

다리를 접어 고정하는 묶음새로서, 단독적으로 쓰이기 보다는 주로 M자로 다리 벌려 묶기 등 다른 방법과 결합하여 사용한다.

이 방법을 사용할 때의 핵심은 다리 오금 바로 뒤쪽으로는 로프를 통과시켜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위쪽 허벅지와 발목이 만나는 부위는 공간이 많아 로프를 가로지르거나 통과시켜도 문제가 없지만 다리를 접었을 때의 다리 오금 부위는 서로 밀착되어 공간이 없으므로 억지로 로프를 통과시켜서는 안 된다.


아래는 다리 접어 묶기의 형태이다. 

 




23. 부분 매달아 묶기(部分吊縛)

이 방법은 종류가 너무 많고, 사람마다 부르는 명칭이 다르므로 포괄적으로 지칭한 것이다.

신체의 일부는 지면에 닿아 있지만 다른 일부, 예컨대 발, 다리, 허리 등을 로프로 묶어 지면과 떨어져 매다는 것을 말한다.

이는 로프의 압력과 피결박자에게 가해지는 하중, 정신적 부담 등을 잘 고려해야 하므로 섣부른 지식과 기술로 시도하지 않는 것이 좋다.


부분 매달아 묶기의 형태는 아래와 같다. 

 

  



24. 매달아 묶기(吊縛)

이 또한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유파에 따른 명칭이 다르다.

제목처럼 로프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몸을 지면과 완전히 분리하여 매다는 방법을 통칭한 것이다.

세부적인 부분에서 다양한 자세가 있으며, 높이와 피결박자의 체중이나 감내력, 로프의 장력 등 고려할 부분이 매우 많으므로 결코 흥미 위주로 접근해서는 안 된다.

만약 서로가 첫 시도하는 매달아 묶기라면 가급적 회피하는 것이 안전을 위해 좋다.

 

 

[끝}


※ 퍼가실 경우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